0. 지표(Metric)란
- 서비스에서 쌓이는 로그를 특정 기준에 따라 요약한 자료. 일반적으로는 숫자의 형태로 수집된다.
- 지표를 잘 관리하고 활용한다는 것은 현재 우리 서비스가 위치한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, 목표가 명확하고,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참고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이 있다는 의미.
1. 지표(Metric)를 보는 두 가지 관점
- 과업기반 지표관리: 각 조직별로 담당하는 업무를 정의한 후 업무에서 발생하는 수치들을 지표화 해서 관리(업무->지표)
- 프레임워크 기반 지표관리: 회사 조직도에 따른 관리가 아닌,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흐름에 따라 단계별 주요 지표를 전체 서비스 관점에서 정의(지표->업무)
2. AARRR 정의
- '프레임워크 기반 지표관리' 의 대표적인 지표 관리 방법론으로 사용자가 서비스에 진입하고, 핵심 기능을 사용하고, 결제하고, 이탈하는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핵심 지표를 찾는 방법
-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흐름을 바탕으로 고객 유치(Acquisition), 활성화(Activation), 리텐션(Retention), 수익화(Revenue), 추천(Referral) 5개 카테고리를 정의한 후 각 카테고리에서 핵심이 되는 지표를 발굴하고 이를 측정/개선하는 방법이다.
3. AARRR 프레임워크
- 고객유치(Acquisition): 사용자들을 어떻게 우리 서비스로 데려올 것인가?
- 활성화(Activation): 사용자들이 우리 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잘 사용하는가?
- 리텐션(Retention): 사용자들이 우리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방문하는가?
- 수익화(Revenue): 사용자들이 우리 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결제를 하는가?
- 추천(Referral): 사용자들이 우리 서비스를 주변 지인들에게 추천하는가?
4. AARRR의 활용방법
1단계: 각 단계별로 풀어야 하는 문제를 확인한다.
2단계: 각 단계의 핵심이 되는 주요 지표를 선정하고, 해당 지표의 현재 수준을 측정한다.
3단계: 측정된 지표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한다.
4단계: 개선해야 하는 목표 수준을 정하고 실험을 통해 단계적으로 개선한다.
5. 주의점
- AARRR을 단순히 단계별 지표 모니터링으로 생각하면 서비스 개선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. 이미 정해진 지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AARRR의 핵심이 아니다.
- AARRR에서 중요한 것은 '서비스 특성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중요 지표가 무엇인지 정의하는 과정'과 '어떤 카테고리의 지표 개선 실험을 우선적으로 할 것인가'를 정의하는 일이다.
- AARRR의 주창자는 활성화와 리텐션을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하고, 그 다음으로는 고객 유치와 추천을 개선하고, 마지막으로 수익화를 챙겨야한다고 제안하였다.
참고문헌: 양승화(2021). 그로스 해킹-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-. 위키북스.
'개념정리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ARRR] 2. 활성화(Activation)_ 퍼널(Funnel)&코호트(Cohort) (0) | 2022.03.24 |
---|---|
[AARRR] 1. 고객 유치(Acquisition) (0) | 2022.03.24 |
댓글